뇌는 현실과 언어를 구별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입으로 ‘짜증나’를 반복하면 그 소리가 귀를 통해 뇌로 전달되고, 뇌는 ‘짜증이 나 있는 것인데 왜 멀쩡한 척하느냐’면서 온몸에 불쾌한 스트레스 호르몬을 쫙 뿌린다. 말버릇은 그야말로 버릇으로 출발하지만 버릇이 거듭되면 마음과 몸에 굳어버린다. - 우종민 교수, ‘뒤집는 힘’에서 |
흥미롭게도 뇌는 말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말은 밖으로 나왔다가 ‘뇌의 지령’에 따라 다시 자신에게로 돌아갑니다. 노상 ‘짜증난다’고 하는 사람 주변에는 짜증 날 일이 계속 생깁니다. 반면 긍정적이고 좋은 말만 계속하면 실제로 좋은 일만 생기게 됩니다. 말버릇이 자신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훈련을 거듭하면 좋은 말 습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경영'에 해당되는 글 550건
- 2011.12.05 뇌는 현실과 언어를 구분하지 못한다. 3
- 2011.12.01 사과는 패자의 변명이 아닌 리더의 언어다 2
- 2011.11.30 정상을 지키기가 어려운 이유
- 2011.11.30 전진하지 않는 것은 뒤로 가는 것과 같다.
- 2011.11.28 좋은 친구를 얻는 최고의 방법 1
- 2011.11.28 인생이라는 연극의 주인공은 바로 나다
- 2011.11.24 평범한 사람들이 비범한 인재가 되는 비결
- 2011.11.24 실패를 즐기는 사람이 세상을 지배한다.
- 2011.11.24 한가지 일에만 집중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
- 2011.11.21 활력은 비전의 산물이다.
사과는 모든 희망과 바람, 또 불안함의 가면을 벗겨낸다. 사과할 때 인간은 가장 인간다워지고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던 가면을 벗고 진실한 얼굴을 하게 된다. 사과는 더 이상 약자나 패자의 변명이 아니라 ‘리더의 언어’로 바뀌어야 한다. 사과란 단지 잘못을 시인하고 용서를 구하는 행위 이상의 가치를 지녔다. - 존 케이더(John Kador) |
‘제 잘못입니다’라는 말 한마디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열어줍니다. 책임질 줄 아는 사람, 신뢰할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게 합니다. 사과는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해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기업의 수익창출에도 도움이 됩니다. 사과는 다른 어떤 언어로도 대체할 수 없는 마법의 힘을 가졌습니다. |
정상에 오르기란 어렵다. 그런데 정상에 오른 뒤에 그 자리를 지키는 사람이 드문 이유는 십중팔구 성공바이러스에 감염되었기 때문이다. 성공바이러스의 감염증상은 만족감으로 나타난다. 성취는 성공 바이러스가 당신과 당신이 이끄는 조직을 감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할 때만 같은 수준 또는 더 높은 수준으로 지속된다. -존 우든, ‘리더라면 우든 처럼’에서 |
스펜서 존슨은 “전성기에서 일찍 밀려나게 되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자신감이라는 탈을 쓴 오만함”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실패의 근저에는 자만감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자만심은 자신감을 부풀리고 현실을 잘못 보게 만듭니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평범한 지혜를 다시한번 새길 때입니다. |
어제 한일이 아직도 대단해 보인다면 오늘 할 일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다. 과거 성취가 현재의 성취보다 초라해 보이지 않는다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수년전에 한일을 보면서 지금은 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발전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앨버트 허버드 |
전진하지 않는 것은 뒤로 물러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세상은 끊임없이 전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키려고 하는 사람은 현재의 위치를 결코 지킬 수가 없습니다. 앞으로 나아가는 도전을 두려워하는 대신 그 자리에 안주하려는 마음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
친구를 찾겠다고 나서면 친구는 드물다. 그러나 친구가 되겠다고 나서면 어디에나 친구가 있다. (If you go looking for a friend, you’re going to find they’re very scarce. If you go out to be a friend, you’ll find them everywhere.) -지그 지글러(Zig Ziglar) |
관심을 얻지 않으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그들을 리드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관심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의 관심사에 깊은 관심을 보여야 합니다. 남이 당신에게 관심을 갖도록 노력하는 2년보다 당신이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는 두 달 동안 당신은 훨씬 더 많은 친구를 사귈 수 있습니다.(데일 카네기) If you do not command the attention of other people, there is no way you can hope to inspire or lead them. But in order to get their attention, you must take an interest in their interests. You can make more friends in two months by becoming interested in other people than you can in two years by trying to get other people interested in you. (Dale Carnegie) |
사람이란 태어날 때 각자 한권의 연극 각본을 갖고 탄생한다. 그 각본의 저자도 자기요. 감독도 자기요. 주연도 자기다. 그리고 그 각본대로의 한마당 연극이 사람의 일생이다. 이왕 연극할 바에는 멋들어지게 해야 할 것이 아닌가? -경봉스님 |
연극은 작가와 감독이 하기에 따라 희극이 되기도 하고 비극이 되기도 합니다. 인생이라는 연극의 작가와 감독은 바로 ‘나’입니다. 내가 패배와 실패의 이미지를 그리면 실패자의 인생을 살게 됩니다. 반면에 승리와 성공, 기쁨과 행복, 평화의 이미지를 떠올리면 아무리 큰 장애물이 있더라도 반드시 그런 인생을 살게 됩니다. |
평범한 인재들이 비범하게 바뀐 단 한 가지 이유는 ‘일을 싫증내지 않고 묵묵히 노력하는 힘’에 있다. 하루하루 쌓아가는 지속적인 힘이 평범함을 비범함으로 바꾼다. 꿈을 현실로 바꾸는 사람이란, 쉽고 편한 길을 택하기보다는 꾀부리지 않고 한 걸음씩 성실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평범하지만 비범한 사람들이다. -김쌍수 전 한전사장, ‘5%는 불가능해도 30%는 가능하다’에서 |
중국 속담에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정성을 담아 10년간 꾸준히 하면 큰 힘이 된다. 20년을 하면 두려울 만큼 거대한 힘이 되고, 30년을 하면 역사가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자세로 덤빈다면 못 이룰 꿈이 없습니다. |
나는 실패를 사랑한다. 학생들의 성적을 매길 때도 얼마나 많이 실패했는지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많이 실패한 학생일수록 더욱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패)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발전도 없다. -제임스 다이슨(진공청소기 다이슨사 회장) |
‘영원히 실패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으며 실패란 효과가 없는 방법을 하나 더 발견하는 과정에 불과합니다.'(토마스 에디슨) '도전해서 성공하면 조금 배우고, 실패하면 많이 배우게 됩니다.’ (안토니 김원길 대표) ‘위대한 인물은 배움의 기회를 주는 엄청난 실패를 통해 만들어집니다.'(엘머 클락) |
매일같이 당신도 무언가를 한다. 아침 7시에 일어나 밤 11시에 잠자리에 든다면, 16시간의 이용 가능한 시간이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시간 동안 여러 가지 일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의 경우,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한다. 만약 한 가지 방향과 일에 열중할 수 있다면 성공할 것이다. 다만 열중할 수 있는 그 한 가지 일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문제다. -토마스 에디슨 |
우리가 위인이라고 부르는 사람, 성공했다고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엄청난 집중력으로 자기 일에 몰두했고, 그 결과 특별한 명예와 부를 차지한 사람들입니다. ‘자주 사람들이 쓸모없어지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자신의 전문직이나 소명을 무시한 채 여러 가지 대상이나 목적을 향해 관심을 분산시키기 때문이다.’라는 나다니엘 애먼스의 글도 함께 보내드립니다. |
목표를 끝까지 관철하고 말겠다는 집념은, 기개가 있는 자의 정신을 단단히 바치고 있는 기둥이며 성공의 최대 조건이다. 이것이 없다면 아무리 천재라고 할지라도 이리저리 방황하게 되고 헛되이 에너지를 소비할 뿐이다. -체스터필드 |
목표와 비전에 관한 좋은 글들 함께 보내 드립니다. ‘목표가 확실한 사람은 아무리 거친 길이라도 앞으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목표가 없는 사람은 아무리 좋은 길이라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토머스 칼라일) 활력은 비전의 산물이다. ‘위대하고 아름답고 중요한 그 어떤 것에 대한 비전이 없다면 활력은 감소되고 인간의 생명력은 약해진다.’ (에리히 프롬) |